전 17살이고 제가 며칠전에 학원갔다와서 방에서 문을 잠그고 공부를하는데 엄마가 노크하시고 문을 열려고 하시다가 문이잠겨있는걸 알고 저한테 좀 화내셨어요 왜 안하던짓 하냐, 앞으로 엄마가 그냥 너한테 신경 쓰지말까? 이런식으로요 저희엄마가 나쁘신분은 아니에요 진짜 좋은신분인데 아무튼 그래서 요 며칠 좀 어색한 사이로 있다가 오늘 좀 화해아닌 화해 했는데 지금 문득 보니 그 문 잠그는 장치?그게 사라져있더라고요 아마 엄마가 빼신것같은데 솔직히 진짜 너무 어이없고 이게 그렇게까지 할일인가?싶어요 제가 잘못했나요?
안녕하세요, 강남 최면심리상담센터 지안의 대표, 상담사 송준영입니다.
어머니와의 일로 많이 속상하고 어이없는 감정이 드셨군요. 공부에 집중하기 위해 문을 잠갔을 뿐인데, 어머니의 반응과 행동에 당황스럽고 서운한 마음이 드는 것은 당연합니다. 선생님의 글을 읽으며 얼마나 마음이 답답했을지 충분히 느껴집니다. 먼저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선생님께서 잘못하신 것이 아니라는 점입니다. 17살이라는 나이에 자신만의 공간을 원하고, 그 공간에서 안정감을 느끼며 집중하고 싶은 마음은 지극히 자연스럽고 건강한 심리적 발달 과정 중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어머니께서 왜 그렇게까지 반응하셨을까, 그 마음을 한번 들여다볼 필요는 있을 것 같습니다. 아마 어머니께서는 선생님이 갑자기 문을 잠그는 행동에 많이 놀라셨을 수 있습니다. 평소와 다른 행동에 ‘혹시 무슨 일이 있나?’, ‘나에게 무언가 숨기는 건 아닐까?’, ‘우리 사이에 벽이 생기는 건가?’ 하는 불안하고 서운한 마음이 드셨을지도 모릅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신경 쓰지 말까?”와 같은 말로 선생님께 상처를 주거나, 말없이 잠금장치를 제거하는 행동이 옳았다고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어머니께서도 걱정스러운 마음을 어떻게 표현해야 할지 몰라 서툰 방식으로 행동하셨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번 일은 선생님의 ‘독립적인 공간을 존중받고 싶은 마음’과 어머니의 ‘자녀와 연결되고 싶고, 염려하는 마음’이 서로 부딪히면서 생긴 오해로 보입니다. 지금 선생님께서 느끼시는 ‘어이없고 억울한 감정’은 해소해야 할 불편한 감정이 맞지만, 이 상황은 EFT 감정자유기법을 적용하기에 앞서 어머니와의 대화를 통해 오해를 푸는 것이 우선되어야 할 것 같습니다. 상담을 통해 도움을 받으시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우선은 선생님께서 직접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선생님의 마음을 솔직하고 차분하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감정이 격해진 상태가 아닌, 두 분 모두 편안한 시간에 대화를 시작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중요한 것은 ‘엄마가 잘못했어’라고 비난하는 방식이 아니라, ‘나는 그때 그렇게 느꼈어’라고 선생님의 감정을 중심으로 이야기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한번 이야기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엄마, 며칠 전에 제가 방문을 잠갔을 때, 엄마가 화내시고 잠금장치를 없애신 일 때문에 제가 많이 속상했어요. 제 공간이 존중받지 못하는 기분이 들어서 서운한 마음도 들었고요. 제가 문을 잠갔던 건 다른 뜻이 있었던 게 아니라, 정말 공부에 더 집중하고 싶어서 그랬던 거예요. 엄마를 피하거나 무언가 숨기려는 마음이 아니었다는 걸 알아주셨으면 좋겠어요. 앞으로는 제가 공부할 때 잠시 문을 잠그더라도, 저를 믿고 이해해주시면 안 될까요? 대신 엄마가 부르시면 바로 열어드릴게요.”
'내가 왜 그랬는지'에 대한 이유와 '그때 내가 어떻게 느꼈는지'에 대한 감정, 그리고 '앞으로 어떻게 해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함께 전달하는 것입니다. 이런 대화를 통해 어머니께서도 선생님의 마음을 이해하고 자신의 행동을 돌아볼 기회를 갖게 되실 수 있습니다.
혼자서 이러한 감정을 다루고 대화를 시도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진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때로는 가족 안에서의 문제일수록 객관적인 시각으로 상황을 바라보고 감정의 엉킴을 풀어줄 누군가가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저희 센터에서는 유년시절 가정 불화, 지나친 타인 의식, 평가에 대한 두려움, 착한아이 콤플렉스, 버림받는 두려움, 애정결핍, 인정욕구, 완벽주의와 같은 깊은 마음의 문제부터 슬픔, 불안, 우울, 외로움, 죄책감, 공포, 두려움, 분노, 공허함 등 다양한 감정적 어려움을 겪는 분들을 돕고 있습니다. 낮은 자존감이나 트라우마, 신체화 증상, 이성관계 문제 등으로 힘들어하시는 경우에도 무의식의 핵심 감정과 신념을 다루는 상담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선생님의 마음이 존중받고, 편안한 공간에서 안정감을 되찾으실 수 있기를 진심으로 바랍니다.
본 센터가 제공하는 상담 및 정보는 감정 탐색과 심리적 지지를 통해 삶의 평온함을 돕기 위함입니다.
정신과적 진단 및 치료가 필요한 경우에는 반드시 의료기관의 도움을 받으시기를 권장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