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이 JEPQ랑 같은가요? 1.JEPQ랑 같은 국내상장 해외ETF 종류 좀 알려주세요 2.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에서 합성은
1.JEPQ랑 같은 국내상장 해외ETF 종류 좀 알려주세요 2.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에서 합성은 무슨뜻인가요? 3.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환헷지 상품은 아닌가요?
질문 주신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ETF와 JEPQ의 차이점, 그리고 비슷한 국내 상장 ETF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vs JEPQ 차이
두 상품 모두 나스닥100 지수 기반 + 커버드콜 전략을 사용하지만,
→ 나스닥100 종목을 직접 보유하면서 매월 콜옵션을 매도하는 적극적 관리형 ETF입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한국 상장, 미래에셋 운용)
→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스왑·파생상품을 이용해 나스닥100 성과를 합성해 추종합니다.
또한 매월 만기 시점에 ATM(At-the-Money) 콜옵션을 매도해 배당을 지급합니다.
즉, 전략은 유사하지만 운용방식과 상장국가가 달라 동일 상품은 아닙니다.
쉽게 말해 TIGER는 한국판 JEPQ 느낌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JEPQ와 비슷한 국내 상장 해외 ETF
국내에서도 JEPQ와 유사한 전략을 쓰는 ETF들이 있습니다.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 (441680.KS)
TIGER 미국나스닥100 타깃일일커버드콜 (486290.KS)
TIGER 미국나스닥100 +15% 프리미엄 데일리옵션 (487020.KS)
KODEX 미국 S&P500 배당귀족 커버드콜(합성) (276970.KS)
TIGER 미국배당타깃커버드콜Ⅱ (329750.KS)
이 중 나스닥100 기반 상품은 TIGER 시리즈가 JEPQ와 가장 유사합니다.
ETF 이름에 "합성"이 붙으면 실제 주식을 보유하지 않고 파생상품(스왑 계약 등)으로 지수를 추종한다는 뜻입니다.
단점: 금융기관과 계약을 맺기 때문에 카운터파티 리스크 존재
TIGER 미국나스닥100커버드콜(합성)은 환헤지 상품이 아닙니다.
즉, 원·달러 환율 변동이 수익률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참고: 환헤지 상품은 보통 이름에 "(H)" 표기가 들어갑니다.)
JEPQ = 미국 상장 / 실물주식 기반 / 적극적 관리
TIGER 나스닥100 커버드콜(합성) = 한국 상장 / 파생상품 기반 / 월별 커버드콜 전략
비슷한 성격의 ETF이지만, 동일하지는 않으니 투자 시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