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계 고졸 공기업 취업 인문계 고졸이고 공기업 전기, 기계직렬 기술직 들어가고 싶습니다. 어떤 경력을
인문계 고졸이고 공기업 전기, 기계직렬 기술직 들어가고 싶습니다. 어떤 경력을 쌓아야 갈 수 있는지,토익800이상, 오픽, 컴활1급, 한국사1급 기본으로 취득해야하는지자격증은 어떤거 준비해야하는지, 기사 필수인지, 기능사 도움되는지,ncs, 전공시험이 있는걸로 아는데 전공 없는 인문계 고졸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인문계 고졸에서 공기업 기술직(전기·기계) 으로 가고 싶다면, 준비 방향을 확실히 잡는 게 중요합니다. 공기업마다 채용 기준이 조금씩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흐름을 정리해드릴게요.
어학: 토익 800 이상 / 오픽 IM2~IH 수준이면 충분 (대부분 공기업은 “어학점수는 가산점 or 필수 지원 자격” 수준임)
한국사: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2급 → 가산점 부여
컴활 1급: 일부 공기업 사무직 가산점, 기술직은 크게 영향 없음 (있으면 좋음)
기술직은 어학·자격증보다는 전공 관련 자격증이 훨씬 중요합니다.
기사 응시조건: 관련학과 전문대 졸업 이상 / 산업기사 취득 + 경력 / 기능사 취득 + 경력 …
→ 인문계 고졸인 경우 기능사부터 시작 + 경력 쌓아 기사 응시자격 확보가 가장 현실적 경로입니다.
기능사 자체만으로는 큰 메리트는 없지만, 기사 응시자격 만들 때 + 경력 인정에 도움됨.
결론 : 기사 자격증 없으면 기술직 공기업은 거의 불가능. 기능사는 "발판" 역할.
NCS(직업기초능력) : 전 직렬 공통, 언어·수리·문제해결·자원관리·조직이해 등 → 필수 준비
전기직 → 회로이론, 전력공학, 전기기기, 전기설비 등
기계직 → 열역학, 유체역학, 재료역학, 기계설계 등
인문계 고졸은 전공 지식이 없으므로 → 기능사/산업기사/기사 공부 과정이 곧 전공 공부라고 보시면 됩니다.
기능사 취득 → 관련 업종 취업 → 경력 쌓기
예: 전기기능사 따고 전기 시공/유지보수 업체 취업 → 2~3년 경력 → 전기기사 응시자격 → 기사 취득
야간·온라인 과정 통해 관련 학과 학위 취득 → 기사 응시자격 확보
전기·기계 관련 병과(시설관리, 전기병 등)에서 복무 → 경력 인정 → 기사 응시자격 확보
당장 준비 → 전기기능사/기계정비기능사 공부 & 취득
관련 업종 취업 or 군 특기 활용 → 2~3년 경력 확보
기사 자격 응시자격 충족 후 전기기사/기계기사 취득
공기업 채용 지원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가스공사, 철도공사, 시설공단 등)
어학·한국사·컴활 → 있으면 좋지만 기술직 필수는 아님 (가산점 정도)
기능사 → 출발점 (기사 응시자격 만들기 + 경력 쌓기용)
기사 → 사실상 필수, 기술직 채용의 기본 자격
인문계 고졸은 학력보다는 “자격증(기사) + 경력”이 승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