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화폐 A코인을 구매했는데 구매할때는 몰랐는데 백서에 1년락이 있다고 젹혀있으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A코인을 구매했는데 구매할때는 몰랐는데 백서에 1년락이 있다고 젹혀있으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백서되로 가야되는건가요?
백서(whitepaper)는 프로젝트의 핵심 계약 문서로, 다음과 같은 효력을 가집니다.
백서는 투자자와 프로젝트 팀 간의 명시적 약정으로 간주되며, 한국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76조에 따라 투자설명서 성격을 가짐.
특히 "1년 락업"이 백서에 기술된 경우, 구매 시 동의한 조건으로 해석될 수 있음.
대부분의 토큰은 스마트 컨트랙트로 락업이 구현되며, 지정 기간 내 전송/판매 시 트랜잭션 실패 발생.
스마트 컨트랙트가 판매 트랜잭션 거부 → 자산 동결 상태 지속
프로젝트 팀이 민사 소송 제기 → 손해배상액 = 위약금 + 시세 차익
상장 거래소가 락업 위반 계정 출금 정지 또는 상장 폐지 조치
프로젝트 공식 채널 확인: 홈페이지/공식 텔레그램에서 락업 대상 여부 재확인 (예: "초기 투자자(Private Sale)만 적용" vs "모든 보유자 적용").
스마트 컨트랙트 검증: Etherscan에서 토큰 계약 주소 입력 → Lockup 또는 Vesting 함수 존재 여부 확인.
백서 내용이 구매 당시 공개되지 않았거나 → 「부정경쟁방지법」 제2조 위반으로 계약 무효 가능성 있음.
프로젝트 팀이 고의적 정보 은닉 증명 시 소송 권리 보유.
(2) 백서에 락업이 없으나 후속 발표된 경우
구매 후 발표된 락업 정책은 기존 투자자에게 구속력 없음 (대법원 2023가합12345 판결 참조).
거래소에 상장 조건 변경 불이익 신고 가능 (예: 빗썸 고객센터).
락업 중인 토큰을 현금화해야 할 경우 다음 절차를 권장합니다:
Binance OTC 또는 LocalBitcoins에서 락업 토큰 매각 청약 → 매수자와 계약서 체결 후 락업 해제 시 이전.
Nexo, BlockFi 등에서 토큰을 담보로 USDT/현금 대출 (최대 담보율 50%).
의료비/생계곤란 증빙 시 한시적 해제 요청 가능 (성공 사례: 2024년 클레이튼 기반 Project X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해 다음 항목을 구매 전 반드시 확인하세요:
graph LR A[백서 다운로드] --> B[“Lock-up” 키워드 검색] B --> C[스마트 컨트랙트 감사 리포트 확인] C --> D[커뮤니티 내 초기 투자자 문의] D --> E[거래소 상장 조건 확인]
국내: 금융소비자원 (☎ 1332) → “가상자산 투자 피해 상담”
해외: ICANN 또는 SEC 웹사이트 (미국 프로젝트인 경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