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한국 전통 꽃신 색깔에 따라 의미는 없나오..?? 종류도 알려주세요!!
꽃신 색깔에 따라 의미는 없나오..?? 종류도 알려주세요!!
대한민국 전통문화에서 꽃신(전통 자수 신발, 특히 여성용)은 단순한 실용품이 아니라, 신분·의례·감정·상징을 담은 중요한 의복 요소입니다. 특히 색깔은 그 의미와 쓰임에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
전통 꽃신의 색깔별 의미
색깔
상징적 의미
주로 착용한 상황/계층
빨강 (홍색)
길상(吉祥), 부귀, 정열, 결혼, 젊음
신부 혼례복, 어린 소녀들
파랑 (청색)
맑음, 희망, 귀함
양반가 여성, 의례복
노랑 (황색)
중앙, 황금, 왕실의 색 / 태양 / 권위
궁중/왕실, 상류층
초록 (녹색)
생명, 자연, 평안
혼례 시 신부 꽃신, 젊은 여성
검정 (흑색)
무게감, 성숙, 절제, 슬픔
상복, 제사, 중장년층
흰색 (백색)
순수, 겸손, 정결, 죽음
상장례 의복, 제사 때
전통 꽃신의 종류와 특징
종류
특징 및 착용자
꽃신 (자수화)
주로 여성용 / 겉에 자수 무늬 있음, 장식성 높음
운혜 (雲鞋)
남녀 공용, 바닥이 평평하고 구름 무늬 등 자수 있음
태사혜
남성용 정장화, 궁중이나 의례에 사용
당혜 (唐鞋)
귀족 여성용 / 굽이 낮고 앞이 살짝 올라감 / 자수화
색혜 (色鞋)
다양한 색상의 예복용 신발, 왕실 여성들이 착용
백혜 (白鞋)
흰색, 제례·상복용, 혹은 무용에 사용
문화적 상징으로서의 꽃신
부부의 정(情): 남편이 떠나간 아내에게 꽃신을 남기고 떠나는 전설이 전해짐
첫 사랑, 순정의 상징: 민속극이나 문학에서 '꽃신 사다 주는 것'은 사랑의 표현
계절 따라 색 변화: 봄엔 화사한 홍색·초록, 겨울엔 진한 남색·자주색
현대 재해석
오늘날은 전통혼례뿐 아니라, 퓨전한복 코디나 전통 예술 공연 등에서 패션 아이템으로 재해석되어 자수 플랫슈즈 형태로 제작되기도 합니다.
당신에 도움이 되는 블로그, 우리들의 일상입니다. 한번 둘러보세요~^^ image 우리들의 일상
4250.tistory.com